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백준_2503] 숫자야구_Py

자료구조 알고리즘/백준

by young1403 2022. 3. 23. 02:45

본문

https://www.acmicpc.net/problem/2503

 

2503번: 숫자 야구

첫째 줄에는 민혁이가 영수에게 몇 번이나 질문을 했는지를 나타내는 1 이상 100 이하의 자연수 N이 주어진다. 이어지는 N개의 줄에는 각 줄마다 민혁이가 질문한 세 자리 수와 영수가 답한 스트

www.acmicpc.net

문제

정보문화진흥원 정보 영재 동아리에서 동아리 활동을 하던 영수와 민혁이는 쉬는 시간을 틈타 숫자야구 게임을 하기로 했다.

  • 영수는 1에서 9까지의 서로 다른 숫자 세 개로 구성된 세 자리 수를 마음속으로 생각한다. (예: 324)
  • 민혁이는 1에서 9까지의 서로 다른 숫자 세 개로 구성된 세 자리 수를 영수에게 묻는다. (예: 123)
  • 민혁이가 말한 세 자리 수에 있는 숫자들 중 하나가 영수의 세 자리 수의 동일한 자리에 위치하면 스트라이크 한 번으로 센다. 숫자가 영수의 세 자리 수에 있긴 하나 다른 자리에 위치하면 볼 한 번으로 센다.

예) 영수가 324를 갖고 있으면 

  • 429는 1 스트라이크 1 볼이다.
  • 241은 0 스트라이크 2 볼이다.
  • 924는 2 스트라이크 0 볼이다.
  • 영수는 민혁이가 말한 수가 몇 스트라이크 몇 볼인지를 답해준다.
  • 민혁이가 영수의 세 자리 수를 정확하게 맞추어 3 스트라이크가 되면 게임이 끝난다. 아니라면 민혁이는 새로운 수를 생각해 다시 영수에게 묻는다.

현재 민혁이와 영수는 게임을 하고 있는 도중에 있다. 민혁이가 영수에게 어떤 수들을 물어보았는지, 그리고 각각의 물음에 영수가 어떤 대답을 했는지가 입력으로 주어진다. 이 입력을 바탕으로 여러분은 영수가 생각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수가 총 몇 개인지를 알아맞혀야 한다.

아래와 같은 경우를 생각해보자.  

  • 민혁: 123
  • 영수: 1 스트라이크 1 볼.
  • 민혁: 356
  • 영수: 1 스트라이크 0 볼.
  • 민혁: 327
  • 영수: 2 스트라이크 0 볼.
  • 민혁: 489
  • 영수: 0 스트라이크 1 볼.

이때 가능한 답은 324와 328, 이렇게 두 가지이다.

영수는 동아리의 규율을 잘 따르는 착한 아이라 민혁이의 물음에 곧이곧대로 정직하게 답한다. 그러므로 영수의 답들에는 모순이 없다.

민혁이의 물음들과 각각의 물음에 대한 영수의 답이 입력으로 주어질 때 영수가 생각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답의 총개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문제 해결

민혁이가 질문한 세 자리 수와 영수가 답한 스트라이크와 볼의 개수를 입력으로 주어진다.(질문횟수는 1 이상 100 이하이다)

영수가 생각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답의 총개수를 출력한다. 

풀이를 구현하는 방법에 대해 지나치게(?) 고민한 한 문제였다.

 

조합으로도 해결할 수 있고 문자형이나 나머지를 활용해 자릿수를 비교해 입력으로 받는 숫자에 해당하는 s, b에 맞지 않는

조건들을 제거해 나가는 식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후자의 방법을 사용하였고 추가로 모든 자릿수의 숫자가 다르다는 점과 자릿수에는 0이 들어올 수 없다는 케이스를 제외하는 코드를 마지막 줄에 넣어 문제를 해결하였다.

 

한 달 전쯤에 이 문제를 처음 접했던 기억이 있다. 당시엔 풀지 못하였지만 지금은 어렵지만 풀 수 있어 실력이 쌓인 것 같아 보람차기도하다.

문제를 보고 논리적으로 맞는 풀이 방향인지 에지 케이스를 따져가며 구현을 설계하는 게 아직은 어설프다고 느꼈다.

이 정도 구현 문제는 어렵지 않게 풀 수 있게끔 열심히 공부해야겠다.!

n = int(input())
cnt = 0
arr = []
check = [0] * 1000

for i in range(n):
    num, s, b = map(int, input().split())
    num3 = num % 10
    num2 = (num // 10) % 10
    num1 = (num // 100) % 10
    for j in range(1000):
        s1, b1 = 0, 0
        j3 = j % 10
        j2 = (j // 10) % 10
        j1 = (j // 100) % 10

        if num1 == j1:  # 첫쨰자리
            s1 += 1
        elif j1 == num3 or j1 == num2:
            b1 += 1
        if num2 == j2:  # 둘쨰자리
            s1 += 1
        elif j2 == num1 or j2 == num3:
            b1 += 1
        if num3 == j3:  # 셋째자리
            s1 += 1
        elif j3 == num1 or j3 == num2:
            b1 += 1
        if s1 != s or b1 != b:
            check[j] = 1

for i in range(1000):
    i3 = i % 10
    i2 = (i // 10) % 10
    i1 = (i // 100) % 10
    if i1 * i2 * i3 == 0 or i1 == i2 or i1 == i3 or i2 == i3:
        check[i] = 1

print(check.count(0))

 

 

'자료구조 알고리즘 > 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_14719] 빗물_python  (0) 2022.03.28
[백준_1991] 트리순회_python  (0) 2022.03.24
[백준_14500] 테트리미노_python  (0) 2022.03.22
[백준_15663]N과M(9)  (0) 2022.03.21
[백준_1748] 수 이어 쓰기1 python  (0) 2022.03.20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