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영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84)
    • JAVA (4)
    • 자료구조 알고리즘 (53)
      • 백준 (47)
      • 코드트리 (3)
      • 자료구조 (1)
      • 프로그래머스 (1)
    • 멋쟁이사자처럼(백엔드1기) (1)
    • 해커톤 프로젝트 (6)
    • JPA (0)
    • Infra (7)
      • Error (7)
    • PHP (0)
    • CS (6)
      • 네트워크 (4)
      • 데이터베이스 (1)
      • 운영체제 (1)
    • 회고 (2)
    • DevOps (1)

검색 레이어

영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Infra

  • [AWS CodeDeploy Errors] ApplicationStart deploy.log: Permission denied

    2023.10.17 by young1403

  • [AWS Codedeploy Errors] AWS Code deploy cannot reach instance service

    2023.10.17 by young1403

  • [jdenticon 이슈] jQuery load메서드에서 아이콘이 나오지 않는 에러

    2022.11.15 by young1403

  • [AWS] EC2 서버 불안정(끊김) 문제 - 도메인

    2022.11.14 by young1403

  • [AWS] EC2 Free Tier limit alert. 프리티어 메모리 부족 문제 :(

    2022.11.14 by young1403

  • [경로설정 문제] zsh:command not found * 오류

    2022.10.29 by young1403

  • aws EC2 배포 mysql error : Could not connect the SSH Tunnel

    2022.10.29 by young1403

[AWS CodeDeploy Errors] ApplicationStart deploy.log: Permission denied

권한 문제가 나왔다. chmod로 해결할 수 있을 거란 생각에 가벼운 마음으로 시작했었지만 결코 가볍지 않았다. [1] chmod 우선 가장 가볍게 생각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chmod 권한을 설정해 주었다. 상위 디렉토리에는 700번대, 하위 파일에는 600번대 권한을 주어도 계속해서 권한 거부가 나왔다. 이때에는 codedeploy를 매번 실행시키는게 아니라 에러가 나오는 deploy.sh의 명령어를 직접 찍어보았다. 위 스크린샷에서 line 13번의 코드는 아래와 같았다. echo "$TIME_NOW > $JAR_FILE 파일 복사" >> $DEPLOY_LOG 해당 내용을 "deploy.log"파일에 적는 상황이었다. 아무리 deploy.log파일에 높은 권한을 부여해도 안되고 그 주변 그 상..

Infra/Error 2023. 10. 17. 16:58

[AWS Codedeploy Errors] AWS Code deploy cannot reach instance service

인스턴스가 동작하지 않아 중지&시작을 하려는게 종료 버튼을 잘못 눌러서 인스턴스를 새로 만들며 겪은 오류이다.. 인스턴스는 새로 만들어 nginx를 붙이고 vpc쪽만 잘 맞춰주니 수동으로 사이트는 금방 띄울 수 있었다. 하지만 CodeDeploy쪽에서 오류해결하는데에 시간이 좀 걸렸다. "/var/log/aws/codedeploy-agent " 경로의 로그 기록을 보면 크게 두가지 에러를 확인할 수 있었다. [1] The security token included in the request is invalid. 처음엔 'token 설정을 따로 해주지 않아서 codedeploy-agent에 접근이 불가능 한건가' 라는 생각에 aws linux의 aws configure을 확인해보니 설정을 새로 해주지 않은..

Infra/Error 2023. 10. 17. 16:32

[jdenticon 이슈] jQuery load메서드에서 아이콘이 나오지 않는 에러

비동기처리에서 jdenticon 아이콘이 나오지 않는 상황 각 멤버마다 구별해주기 위한 이미지 아이콘으로 jdenticon을 사용했다. 로그인 id인 nickname을 값으로 이미지를 변환하도록 하였는데 프로젝트를 진행해가며 동기처리를 비동기로 바꾸면서 발생한 문제였다. 댓글등록시에는 html뷰를 하나를 따로 두고 값만 바뀐 페이지일부를 교체하는 형태로 구현했고, 댓글 수정과 삭제는 jQuery load메서드를 사용하여 비동기통신을 구현했다. 해당 에러는 jQuery load메서드를 사용할때에만 jdenticon의 이미지가 나오지 않는 상황이었다. 한달전쯤 해당 에러를 발견 하고 해결하기위해 이리저리 찾아보았지만 결국 포기하고, 다른 bug fix를 우선적으로 했었다. 결국 마지막으로 남은 이 친구들을 ..

Infra/Error 2022. 11. 15. 16:44

[AWS] EC2 서버 불안정(끊김) 문제 - 도메인

AWS EC2 서버 불안정  웹 프로젝트를 배포하고 나서 접속이 되고 안되고를 반복해 서버가 불안정하다는 생각을 많이 했다. 가만히 들여다보니 wifi를 잡아서 할 때에 보통 불안정했고 폰 데이터를 통한 접속은 상대적으로 접속이 원활했다.(가끔 안될 때도 있었지만) 처음엔 ec2 free-tire를 사용하면 무료니까 이렇게 서버가 불안정한가? 라는 생각에 주변에 묻고 다녀도 이렇지 않다는 답변뿐이어서 본격적으로 이 문제를 해결하고 싶어서 찾아보게 되었다. 1. 첫번째로는 이전 글에 포스팅한 메모리 부족 문제였다. free-tier를 사용하면서 RAM 메모리 부족으로 인해 서버가 끊기는 상황이다. (https://young1403.tistory.com/71 참고) 2. 두번째로는 이 글에서 설명할 도메인..

Infra/Error 2022. 11. 14. 16:48

[AWS] EC2 Free Tier limit alert. 프리티어 메모리 부족 문제 :(

AWS EC2 Free Tier 메모리 부족 문제 AWS 프리티어를 사용하며 배포사이트가 로드가 안되거나 서버가 끊기는 현상이 있었다. ( 서버 불안정 가능성들 게시글 링크) 버그 발견하기 위해 배포 사이트를 들락날락 거리거리며 EC2 인스턴스 모니터링을 확인해보니 CPU 사용률이 지나치게 높다라는 것을 발견했다.(아래 사진처럼 cpu사용률이 높은 이유는 사실 인스턴스 설정을 잘못한 이유였지만..) 그에 더해 아래처럼 메모리를 거의 다 써 간다라는 메일을 받게 되니 '프리티어의 한계인가'라는 생각과 동시에 사양을 변경해서 메모리를 올려야 하나라는 고민을 하였다. 1. 첫 번째 해결방법은 크레디트 사양 변경하기! 하지만 우리 취준생들은 한 푼이라도 아껴야 하기에 찾은 다른 방법도 같이 설명드리겠습니다. 2..

Infra/Error 2022. 11. 14. 16:01

[경로설정 문제] zsh:command not found * 오류

EC2로 배포를 해보며 겪었던 문제들을 포스팅하는 글입니다.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댓글로 많은 조언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mysql을 터미널로 열어야 할 이유는 없지만 배포를 위해 여러 블로그들을 유랑하며 따라 해 보며 기록해놓았던 에러 중 하나이다. 사실 기본적인 셋팅(?)이라 설정이 되어있어야 했지만, 이렇게나마 경로 설정을 하지 않았음을 발견할 수 있어서 다행이다. ' command not found:~~~' 와 같은 오류는 첫 번째로 경로 설정이 제대로 되었는지 확인하고, 두 번째로는 스스로 자신의 터미널이 무슨 shell을 사용하는지 (bash , zsh 등) 확인 후, 경우에 맞게 경로 설정을 해주면 대부분의 command not found 문제는 해결할 수 있다 생각한다. * Mac..

Infra/Error 2022. 10. 29. 21:45

aws EC2 배포 mysql error : Could not connect the SSH Tunnel

EC2로 배포를 해보며 겪었던 문제들을 포스팅하는 글입니다.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댓글로 많은 조언 부탁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EC2 인스턴스 생성 후 서버 db를 연결할 때 생긴 오류이다. 로컬db와 배포db를 같이 가져가려 하면서 생긴 문제인 것 같다. 윈도우의 경우 로컬 db를 만들며 생긴 ssh안에 있는 'known_host'파일을 삭제하고 다시 연결하면 새로운 호스트를 받아들일 것이다. 참고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28498358/why-mysql-workbench-shows-connection-error-related-to-known-hosts

Infra/Error 2022. 10. 29. 21:01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영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