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jenkins 설치 및 github integration plugin 설치
2. 좌측탭에 ‘+ 새로운 Item’ 을 눌러서 Freestyle project로 item 이름을 정해주고 생성.
3. item 생성 후, 프로젝트에 해당하는 github 주소를 적는다.
3-1. (private repository 인 경우) credential 생성
3-2. (private 경우) **github-token 생성** 방법
4. [Jekins] Jenkins 관리 - System 을 클릭 후 ‘Github’ 란을 찾는다. 이번에는 item 생성시와는 조금 다르다.
5. github으로 돌아가서
github - 해당 repository - settings - (좌측탭) Webhooks - Add webhook 버튼 클릭
**주의
- 과 같이 localhost로는 설정이 불가능함.
- 외부에서 특정 주소를 통해 local로 접속할 수 있도록 설정이 필요
- ngrok을 사용하여 로컬서버를 접근 가능하게 하자.
참고 : <https://blog.outsider.ne.kr/1159**>
6. [Jenkins] Dashboard - Jenkins 관리 - Tools
7. [Jenkins] Dashboard - Item선택 - Configure(구성)
8. [Jenkins]
댓글 영역